민주당 을지위, 쿠팡로지스틱스 국토부 관리감독 촉구
상태바
민주당 을지위, 쿠팡로지스틱스 국토부 관리감독 촉구
  • 국제뉴스
  • 승인 2023.05.11 15: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활물류법서 쿠팡만 예외가 된다면 생활물류법 무용지물 될 것
▲더불어민주당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와 택배노동자 과로사대책위원회는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쿠팡로지스틱스(CLS) 생활물류법 이행 및 국토교통부의 관리 감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이용우 기자
▲더불어민주당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와 택배노동자 과로사대책위원회는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쿠팡로지스틱스(CLS) 생활물류법 이행 및 국토교통부의 관리 감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이용우 기자

(서울=국제뉴스) 구영회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와 택배노동자 과로사대책위원회는 11일 국회에서 쿠팡로지스틱스(CLS) 생활물류법 이행과 국토교통부의 관리 감독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들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생활물류법 제정으로 택배현장의 노동조건은 일정하게 개선됐고 과로사는 현저히 줄었으며 택배현장의 갑질도 줄었고, 고용은 안정됐다"고 강조했다.

그런데 "최근 뒤늦게 택배사업에 진출한 '쿠팡' 때문에 택배현장의 노동조건 악화, 고용불안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목청을 높였다.

민주당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와 택배노동자 과로사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쿠팡은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라는 자회사를 통해 택배사업에 진출했는데 시작과 동시에 점유율 20%대의 두 번째로 큰 택배회사가 됐다.

최근 택배과로사 대책위에서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 노동자들의 노동조건을 조사한 결과 노동자들은 택배 과로사 합의 이전의 노동조건에서 일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는 것.

또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 노동자들은 여전히 통소분이라는 이름으로 분류작업을 도맡아 하고 있고 하루평균 9.7시간, 일주일 평균 5.9일 일하고 있었으며, 응답자의 31.4%가 하루 10시간 이상의 장시간 노동을 하고 있었다.

30% 이상이 산재보험, 고용보험에 미가입 상태였으며,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는 경우도 11.1%나 됐다.

건당 100원의 프레쉬백 수거 세척작업은 공짜노동이나 다름없다.

무엇보다 근무일수, 프레쉬백 수거율 등 각종 지침에 대한 수행률을 따져 ‘클렌징’이라는 사실상 해고조치를 하고 있어 택배기사들은 항상 해고의 불안감을 가지고 일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문제는 국토부의 관리감독이 전혀 없다는 사실이다.

민주당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와 택배노동자 과로사대책위는 "국토부가 택배노조에 보낸 답변서를 보면 '현재 CLS 현장의 60%밖에 표준계약서가 도입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분류작업 전가, 장시간 노동에 대한 관리 감독 역시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이렇게 생활물류법에서 쿠팡만 예외가 된다면 생활물류법은 무용지물이 될 것이고 택배사들은 경쟁적으로 근로조건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비판했다.

따라서 "정권이 바뀌었다고 생활물류법이 바뀌지는 않았다. 쿠팡은 생활물류법과 표준계약서를 준수하고 관리감독의 주체인 국토부는 생활물류법과 표준계약서가 현장에서 제대로 지켜질 수 있도록 철저하게 관리감독할 것"을 촉구했다.


구영회 기자 asianews24@gmail.com

<국제뉴스에서 미디어N을 통해 제공한 기사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