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구영회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25일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임명을 강행에 대해 야당이 한목소리로 비판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은 언론의 독립성과 공정성을 위해, 편향된 공영방송을 정상화할 적임자라고 대응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포함해 국회 청문보고서 채택 없이 16번째 인사 임명을 강행했다.
유상범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후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2일 국회에 인사청문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했지만 재송부 기한인 24일까지 보고서 채택은 이루어지지 못했고 방송의 공정성과 독립성이라는 중차대한 임무가 부여된 방송통신위원장 자리를 언제까지나 공석으로 둘 수 없기에 임명의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고 임명 강행의 의미를 강조했다.
또 "이동관 신임 방통위원장은 오랜 기간 언론 현장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았으며 청와대 홍보수석을 역임하는 등 언론정책 전반의 이해도가 높을 뿐 아니라,언론의 독립성과 공정성을 위해, 편향된 공영방송을 정상화할 적임자"임을 밝혔다.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의 국회 무시, 방송장악은 반드시 심판 받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한규 원내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이동관 후보의 임명으로 공정한 방송 대신 정권을 찬양하는 방송과 언론을 만들고 싶었던 윤석열 대통령의 속내가 들통났고 그동안 대통령이 외쳤던 공정, 상식, 정의는 모두 허구이고 기만이었음을 자인한 셈"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임기 1년 3개월 만에 국회 동의 없는 16번재 인사를 탄생시켰다며 대통령의 머리에 '협치'라는 두 글자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비난했다.
정의당은 "대통령이 '언론장악 기술자' 이동관 방통위원장 임명 강행은 언론 자유의 재앙, 민주주의 파괴의 5공화국으로의 퇴행"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강은미 원내대변인은 "정의당은 윤석열 정부의 무도한 언론장악을 막는 입법 대책에 나서겠다"며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과 방송문화진흥회법 등 방송3법, KBS 수신료 통합징수 법안을 이번 정기국회에서 반드시 통과시키겠다"고 대응했다.
구영회 기자 asianews24@gmail.com
<국제뉴스에서 미디어N을 통해 제공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