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 7개 동이 인구소멸 지역으로 조사됐다. 대전세종연구원에 따르면 대전시 중구의 문창 부사동, 동구의 중앙 판암2동 서구의 기성동 등 7개 동과 세종시의 모든 면이 인구 소멸 위기 지역으로 나타났다. 세종시의 면 지역은 본래 연기군의 농촌 지역이나 대전시의 동 지역까지 포함됐다는 사실은 대전시 인구 정책에 던지는 경고음이다.

인구소멸지수는 20~39세 가임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노인 인구로 나눈 값이다. 소멸지수가 0.2~0.5는 소멸 위험지역, 0.2 이하면 소멸 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된다. 서구 기성동과 동구 중앙동은 각각 0.2로 나타나 소멸 고위험지역에 들어가 있고, 대전시의 41개 동이 1.0 미만으로 나타나 소멸위험 주의지역으로 판정됐다.

인구감소는 전국적 현상이긴 하나 대전의 위기감은 더욱 심각하다. 세종시 유출 등의 요인으로 인구 감소가 어느 도시보다도 심하게 나타고 있기 때문이다. 대전시 인구는 지난 2000년을 전후로 광주시를 추월한 이후 격차를 늘리면서 2014년에는 6만 명 이상 앞섰다. 대전과 광주 모두 이 해에 인구수 정점을 찍었다. 대전은 153만 6349명, 광주는 147만5884명이었다. 2020년 1월 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상 인구 기준으로 대전(147만4152명)과 광주(145만 6688명) 차이는 1만7400명 정도로 좁혀졌다.

세종시 유출을 감안하더라도 대전시의 인구 감소 속도는 심상치 않다. 인구의 자연 감소에서 대전은 광주보다 심한 편이다. 작년의 합계출산율에서도 대전(0.95)은 광주(0.97)보다 낮다. 대전 인구의 급감 원인이 세종시 탓만은 아니라는 뜻이다. 대전시는 인구 감소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인구 문제에 관한 한, 우리나라의 각 지역들은 지금 '거꾸로 가기 경쟁'을 벌이는 듯한 모습이다. 이런 분위기에선 인구 정책을 아예 포기하기 십상이다. 대책 없이 인구가 빠져나가는 상황에서 출산율마저 다른 지역보다 뒤지는 도시의 시민들은 미래가 불안할 수밖에 없다. 인구가 계속 줄어들면 그 지역에서 장사가 안 되고, 집값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지역의 인구 감소는 단순히 거주민이 줄었다는 의미가 아니다. 청년들이 취업할 곳이 없고, 지역을 떠나는 기업들이 많다는 뉴스는 인구 감소 통계와 무관할 수 없다. 대전시는 간간히 들려오는 지역 기업의 탈(脫)대전 행렬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한없이 추락하는 대전시의 인구 지표는 대전의 미래를 불안하게 만든다. 인구 정책에 대한 대전시의 분발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한국뉴스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