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간 야권 후보 단일화가 23일 마무리됐지만, 단일화에 대한 평가는 4월7일 투표함을 열어본 뒤에나 가능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야권 후보 단일화에 성공한 오 후보가 일단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에 비해 유리한 고지에 올라섰다고 보고 있지만, 오 후보가 박 후보를 얼마만큼 큰 차이로 이기느냐에 따라 단일화에 대한 평가가 갈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강윤 한국사회여론연구소장은 뉴스1과 통화에서 "오 후보가 아주 큰 차이로 이긴다면 민심이 어디로 향하는지 확실히 알 수 있다"며 "하지만 박 후보에게 신승을 거둔다면 결과적으로 단일화 때문에 승리한 셈이라 선거 결과에 따라 단일화에 대한 평가가 달라질 것"이라고 했다.
이 소장은 "특히 매우 큰 차이로 오 후보가 이긴다면 국민의 정권 심판에 대한 열망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어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지적했다.
엄경영 시대연구소장은 통화에서 "안 후보가 막판 단일화 합의에 응한 것은 일종의 출구전략이라는 의도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오 후보가 패배하더라도 안 후보는 지금까지의 '철수' 논란은 벌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엄 소장은 "선거 이후 야권 재편 주도권을 놓고는 안 후보가 자신의 의지를 명확히 할 가능성이 있다"며 "야권이 패배하더라도 안 후보는 최선을 다했다는 이미지를 구축하려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안 후보로 단일화가 됐다면 안 후보에게 정계 개편의 주도권이 넘어갔을 가능성이 높고, 안 후보와 윤석열 전 검창총장이 연대해 3지대 중심의 정계 개편을 주도하는 그림이 가능했지만, 이제는 그 가능성이 작아졌다"며 "이번 재보선에서 야권이 승리한다면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차기 대권을 끌어갈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